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에는 엄격한 규칙들과 지향하는 관례들이 존재합니다.
식별자(Identifier)라고 해서 어려운 개념이 아니고 쉽게 말하면, 변수의 이름입니다.
변수의 이름을 정할 때, 지켜져야하는 규칙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약어 사용 금지 - var, let, const, for, return, function 등 예약어들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수 문자 금지 - 변수 이름에는 문자, 숫자, 밑줄(_), 달러 기호($)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처음에 숫자가 올 수 없습니다.
대소문자 구분 - variableName과 variablename 은 다른 변수로 인식됩니다.
의미 있는 이름 사용 - 아무 의미 없이 a, b 이런 식의 네이밍은 하지 않습니다.
약어 사용 자제 - 변수 이름을 축약하지 않고 명확하게 작성합니다. 프로젝트에서 정해놓은 규칙이 있다면, 예외가 될 수 있습니다.
코딩 컨벤션 - 단체 프로젝트 진행 시, 정해놓은 규칙이 있다면, 그 규칙 안에서 정합니다.
아래 세 가지는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네이밍 규칙이다.
1. 카멜케이스 (camelCase)
단어 연결 시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시하고,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ex) camelCase, userNameList, userPasswordList
주로 변수, 함수, 메소드, 속성 등의 이름에 사용합니다.
2. 파스칼케이스 (PascalCase)
카멜케이스와 비슷하지만, 첫 글자도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ex) PascalCase, UserNameList, UserPasswordList
주로 클래스, 타입, 인터페이스 등의 이름에 사용합니다.
3. 스네이크케이스 (snake_case)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작성하고, 단어 사이를 밑줄(_)로 구분합니다.
ex) snake_case, user_name_list, user_password_list
주로 상수 이름, 파일 이름 등에 사용됩니다.
* DB에서 필드명을 스네이크 케이스로 작성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백엔드 시스템에서 응답값을 보내줄 때,
속성 이름들을 DB와 맞춰 스네이크 케이스로 보내주기도 합니다.
모든 단어를 대문자로 작성하는 스네이크 케이스를 스크림 스네이크 케이스라고 합니다.
ex) USER_NAME, USER_PASSWORD
주로, 고정된 상수 값을 대문자 스네이크 케이스로 선언합니다.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배열의 메소드 - splice, slice (0) | 2024.07.28 |
---|---|
[자바스크립트] 배열의 메소드 - push, pop, unshift, shift (0) | 2024.07.20 |
[자바스크립트] 배열 (0) | 2024.07.16 |
[자바스크립트] 변수의 호이스팅과 스코프 (0) | 2024.07.10 |
[자바스크립트] 변수, 상수에 대해 (0) | 2024.07.03 |